김지윤 박사

김지윤은 정치외교전문가이다. 아산정책연구원의 여론분석센터 센터장으로 활동했던 김지윤 박사는 한국 정치 및 국제 정세와 그에 관련된 여론을 분석해왔다. 다양한 매체에 출연해 현재 국제 정세 및 대한민국의 상황에 대해 전달하고, 다수의 강연에서 정치 및 한국사회, 리더십 등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또한 현재 MBC 100분 토론의 진행자로 활동 중이다. 그의 강연을 통해 국제 정세와 정책이 한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자.
김지윤 박사 섭외 바로가기 (Click) … 올댓스피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국은 리더의 자격이 있는가

안녕하세요. 올댓스피커 입니다.
코로나19가 생겨난지 벌써 1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코로나 이전과는 급격하게 바뀌어버린 상황으로 인해, 많은 분들이 실질적인 생활의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는데요.
오늘은 김지윤 박사님이 들려주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국은 리더의 자격이 있는가" 주제의 강연을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강연을 통해, 앞으로 이 세계가 어떻게 흘러갈지, 또 우리는 어떠한 포지셔닝을 갖춰야 할지 고민해보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냉전이 끝나고, 미국이 전 세계에서 독보적으로 앞서가는 리더가 되었다는 것은 모두 다 아는 사실인데요.
미국 뿐만 아니라, 주변 많은 나라들이 미국을 리더 국가로 보고 따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미국은 리더로써 패권을 갖는 부분에 있어 덕을 보는 대신 그만큼 국제기구에 다른 국가에 비해 많은 지원을 하거나 공공재를 지원했었는데요.
이는 국제 리더로써 당연히 해야하는 부분이었죠.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이후 국제 리더인 미국이 보인 행동에 대해 불만과 아쉬움의 소리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공공보건, 의료기술 적인 부분에서, 미국에 세계보건기구와 함께 코로나를 극복하려는 적극적인 제스춰를 취해야 하는것인 아닌가 라는 의견이 많다고 합니다.
코로나 이전 그리고 이후 현재 미국의 이미지는 어떨까요?
오바마 퇴임 시와 트럼프 임기 2년 때를 비교하면,
독일, 캐나다 등 우방 동맹국에서는 미국의 이미지가 추락한 반면 적대국이라 할 수 있는 러시아, 이스라엘에서 이미지가 올라가는 특이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상당히 문제가 있는 상황이라는 것인데요.
한 예로, 오바마 대통령 재임 시,
"미국 대통령이 세계 정세에 바람직한 일을 할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는 것에 유럽인들이 큰 호응이 있었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 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략)
김지윤 박사님 강연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급속한 변화 속에서
우리는 어떠한 포지셔닝을 갖춰야 할지 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
김지윤 박사님의 강연은 저희 올댓스피커를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이어지는 강연리뷰는 블로그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클릭 시 이동
Copyright ⓒ 강연전문 에이전시 올댓스피커, 무단전재 배포금지
#명사특강 #명사강연 #특강 #강연 #김지윤강연 #김지윤특강 #김지윤섭외 #올댓스피커